본문 바로가기
실전 코딩/HTML

웹브라우저 HTML 렌더링 과정

by 정리무새 2021. 6. 28.
728x90
반응형

웹브라우저 HTML 렌더링 과정 : 불러오기 - 파싱 - 렌더링 트리 만들기 - CSS 결정 - 레이아웃 - 그리기


1. 불러오기(Loading)

불러오기는 HTTP 모듈 또는 파일시스템으로 전달 받은 리소스 스트림(Resource Stream)을 읽는 과정으로

로더(Loader)가 이 역할을 맡고 있다. 로더는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이미 데이터를 읽었는지도 확인하고, 팝업창을 열지 말지, 또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지를 결정한다.

2. 파싱(Parsing)

파싱은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만드는 과정이다.

웹 엔진이 가지고 있는 HTML/XML 파서가 문서를 파싱해서 DOM Tree를 만든다.

** DOM Tree : 내용을 저장하는 트리로 javascript에서 접근하는 DOM객체를 쓸 때 이용된다.

3. 렌더링 트리 만들기(Rendering Tree)

렌더링 트리 : DOM Tree와는 별도로 그리기 위한 트리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그것이 렌더링 트리다.

(그릴 때 필요없는 head, title, body 태그등이 없음  + display:none; 처럼 DOM에는 있지만 화면에서는 걸러내야할 것들이 걸러내진 트리)

4. CSS 결정

CSS는 선택자에 따라서 적용되는 태그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CSS 스타일을 분석해 태그에 스타일 규칙이 적용되게 결정한다.

5. 레이아웃(Layout)

렌더링 트리에서 위치나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객체들에게 위치와 크기를 정해주는 과정을 레이아웃이라고 한다.

6. 그리기(Painting)

렌더링 트리를 탐색하면서 페이지를 그려나간다.

 

728x90
반응형

'실전 코딩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태그(meta tag)에 대하여  (0) 2023.04.19
input 자동완성 기능 없애기  (0) 2022.05.26
select option의 속성  (0) 2022.05.25
onclick으로 페이지 이동하기  (0) 2021.06.25
자주 쓰이는 이벤트  (0) 2021.06.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