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UIUX/디자인 구성요소 제작8 매체성 구성 요소 제작하기 매체별 디자인 제작 및 표준화 • 다양한 매체의 특성에 따른 구성 요소를 디자인할 수 있다. • 매체의 다양성을 반영한 해상도, 파일포맷파일 포맷 환경을 고려하여 디자인 할 수 있다. •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범용성·공용성을 지켜 다양한 디바이스(device)가 요구하 는 표준화를 적용할 수 있다. 1. 매체별 디자인 1-1. 픽셀(pixel) 픽셀(pixel)은 picture element의 약자로,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각형 점을 의미한다. picture(그림)와 element(원소)를 합성한 단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화소(畫素)’라 부르기도 한다. 1-2. 해상도 해상도란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의 정밀도, 즉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pixel) 수를 의 미한다. 예.. 2020. 6. 17. 사용성 구성 요소 제작하기 UX 구성 요소 적용 • 사용자 경험에 따른 반응, 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각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1.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UX(user experience), 즉 사용자 경험이란 사용자가 제품이나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얻게 되는 느낌이나 생각 등을 포함한 모든 측면에서의 총체적 경험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경 험은 단순히 지각적 경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각 전반에 걸쳐 사용자가 참여하 고 사용하고 관찰하며 상호 교감을 통해 누적되는 가치 있는 경험을 의미한다. 사용자 경 험은 제품·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느낌과 생각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주관 적 특성을 지닌다. 사용자 경험의 목표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시스템을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2020. 6. 17. 사용성 구성 요소 제작하기 UI 구성 요소 제작 프로젝트 분석·설계에 따른 사용자 환경을 디자인하고 구조화할 수 있다. 사용성을 고려하여 시각적 특성에 맞게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1. UI 제작의 원칙 인터페이스(Interface)란 두 개체가 만나는 접점에서 상호 간의 소통을 위하여 만들어진 매 개체, 즉 소통하는 통로를 의미한다. 특히 사용자와 디지털 기기·디지털 시스템이 상호작 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가상적 매개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라고 하는데,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입력장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것의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 1-1.메타포(Metaphor) 메타포.. 2020. 6. 17. 심미성 구성 요소 제작하기 심미적 요소 표현 서비스, 제작물의 통합적인 아이덴티티를 고려하여 기획된 콘텐츠와 디자인 가이드 를 조합할 수 있다. 전체적인 시각적 요소인 균형과 조화를 이용하여 심미적 요소가 가미된 조형성을 표현할 수 있다. 동일 계열의 유사브랜드나 경향을 분석하여 전략적인 비주얼 콘셉트를 확보할 수 있다. 1. 시각 인터페이스의 심미적 요소 인간은 주변의 데이터나 언어 등의 정보를 시각적 요소로 변환하여 생각하는 특징을 지니 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시각화를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 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1.1 시각화 시각화(visualization)란 언어나 수치로만 된 정보를 마음속에서 그림이나 이미지 등의 형태 로 바꾸어 사고하는 과정을 뜻한다. 특히, 정보의 시각화는 사용자.. 2020. 6. 10. 스토리보드 제작하기 와이어 프레임 작성 인터페이스(interface) 필요 요소와 항목들을 분석하여 요소별 적용할수 있다. 1. 와이어 프레임의 개념 와이어 프레임(wire frame)이란 실제로 디자인을 진행하기 전에 화면에 표시될 구성, 정보 체계, 기능, 콘텐츠에 대한 전체적 레이아웃을 간단한 선(wire)으로 단순하게 표현한 스케 치를 의미하며, 색상,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등의 정보를 최소화하여 도식(schematic), 청사 진, 프로토타입(prototype) 형식으로 보여 줄 수 있다. 와이어 프레임은 그래픽 요소나 시 각적 요소의 표현보다는 계층 요소의 구현을 중심으로 표현해야 한다. 2. 와이어 프레임 작성 와이어 프레임을 작성할 때에는 웹 브라우저, 모바일 웹 등 다양한 매체의 화면 비율을 고려하여 작성하.. 2020. 6. 10. 사용성 구성요소 설계하기 UI 구성요소 설계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시각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시각적 특성에 맞게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에 따른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각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1. 사용성(Usability) 사용성이란 사용자가 제품·시스템에 대한 사용 방법을 얼마나 빠르고 쉽게 배울 수 있는 지, 얼마나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등과 같은 사용의 용이성을 의미한다. 사용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인터 페이스 디자인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가 된다. 따라서 사용성은 배우고 사용하고 기억하기 가 쉬워야 한다. 실수를 일으키지 않고, 원하는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여 개인적 만족 감, 성취감이 높아야 하며 사용자의 경험과 직결해야 한다.. 2020. 4. 22.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